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바카라사이트 프로그램KDI 바카라사이트 프로그램교육·정보센터

ENG
  • 바카라사이트 프로그램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가구 바카라사이트 프로그램 및 부모 노동시장 특성별 자녀 사교육 격차와 추이
한국노동연구원
2025.04.15
한국노동연구원은 가구 바카라사이트 프로그램 및 부모 노동시장 특성별 자녀 사교육 격차와 추이를 분석한 브리프를 발표하였다.

- 본고는 가구 바카라사이트 프로그램 및 부모의 노동시장 특성에 따라 자녀의 사교육 이용 및 사교육비 지출 현황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장기적인 추이를 살펴봄. 가구와 부모의 세부 정보를 제공하는 한국노동패널조사 1~26차 공개용 자료 중 09통합표본을 활용함. 이를 통해 사교육비 지출 추이와 격차의 변화를 다각도로 확인할 수 있는 기술적 통계분석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 지난 15년간(2009~2023년) 취학 자녀의 사교육 이용률과 지출액은 증가하는 추세임. 2009년 대비 2023년 취학 자녀의 사교육 이용률은 9.8%p 상승하였으며, 사교육을 복수 이용하는 비중도 증가함. 취학 자녀 한 명당 지출하는 월평균 사교육비는 2009년 대비 2023년 16.7만 원 상승하였으며(2009년: 38.4만 원 → 2023년: 55.1만 원, 약 43.5% 상승), 자녀의 사교육비는 교급이 올라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임.

- 가구의 소득 및 자산 분위가 높을수록 사교육 지출액도 높아지며, 자산분위보다 소득분위에 따른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남. 소득분위와 자산분위에 따른 사교육비 차이는 자녀의 교급이 올라갈수록 확대되는 양상임. 소득분위가 높을수록 사교육을 복수 이용하는 비중이 높고, 비용이 많이 드는 ‘과외’, ‘학원’ 이용 비중 또한 높음. 과거에는 가구의 소득분위가 하락하면 사교육비도 감소하는 추세였으나, 최근에는 소득분위가 하락해도 사교육비는 증가하는 경향이 발견됨. 지난 15년간 사교육에 지출하는 실질 금액뿐 아니라 가구 전체 소비지출에서 사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도 증가하였으며, 가구 소득분위가 높을수록 사교육 지출 비중도 높아지는 경향이 발견됨.

- 부모의 개인 노동시장 참여 특성에 따른 사교육비 추이를 살펴본 결과, 소득, 종사상지위, 직종에 따른 차이가 확인됨. 부모의 개인 근로소득이 높을수록 사교육 지출액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 종사상지위별로는 부모 모두 임시·일용직 근로자일 때, 직종별로는 부모 모두 생산직일 때, 자녀에게 지출하는 사교육비가 가장 낮음.

- 기술통계 분석을 넘어, 가구의 바카라사이트 프로그램적 배경과 부모의 다양한 노동시장 특성이 구체적으로 어떤 경로를 통해 사교육 격차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보다 심층적인 계량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