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제조기업의 미국 관세 영향 조사
- 특히 소부장 협력사와 같은 중소기업들의 대응계획이 부족한 상황이었음. 영향권에 있는 중소기업 4곳 중 1곳은 ‘대응계획이 없다’(24.2%)고 답했고, ‘생산코스트 절감’이나 ‘관세회피 대응책’을 마련 중인 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었음.
- 대부분이 중소기업인 부품업종은 대미 수출 감소, 완성차 수출 감소로 인한 부품수요 감소, 타 국가가 관세를 회피해 국내나 신흥시장으로 물량 밀어내기를 할 가능성 등 미국에 직접 수출을 하지 않는 경우에도 관세 영향권 안에 들 수 있음. 독자적인 대응이 어려운 중소기업에 정부가 세부 정보공유 및 세제, 수출금융 등 자금측면의 지원과, 국내 완성차 생산량 유지를 위한 생산코스트 절감을 위한 금융지원, 내수판매 진작책 등 다각도의 대책이 필요함.
대한상공회의소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