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바카라보라정책연구원은 한미 디지털 통상 현안과 정책 시사점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미국의 디지털 통상 압박 수준이 과거 어느 때보다 높아졌고 앞으로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바, 2025 NTE 보고서를 바탕으로 관련 논의와 쟁점을 살펴보고 대응 방향을 점검할 시점임. 본고의 작성 목적은 NTE 보고서에 산발적으로 적시된 내용의 유기적 연결(큰 그림 그리기), 디지털 통상 이슈 관련 국내 논의의 참고 자료 및 고려사항 제공, 정책 시사점 제언 등임.
- 한국의 디지털 부문에서 시행 중인 규제와 앞으로 시행될 규제에 따라 국내외 IT 기업, 국내 클라우드 기업, 국내 통신사와 통신장비 기업 등의 명암이 엇갈리는 것으로 분석됨. 2025 NTE 보고서에 ‘데이터 현지화, 경쟁정책, 국가핵심기술의 역외 클라우드 사용 제한’이 새롭게 등장했고, 위치 기반 데이터와 망사용료에 관한 서술은 진행형 이슈인 것으로 파악되며, 공공 클라우드서비스 보안 인증, 재보험 서비스 등을 둘러싼 갈등은 부분적으로 해결됨. 한국의 디지털 규제(정부 조달 제도 포함)는 외국계 기업에 불리하게 작용하며, 특히 데이터 현지화, 망사용료 부과, 클라우드·통신장비 인증 등에서 진입 장벽이 존재한다는 불만이 제기됨.
- NTE 보고서를 통해 식별된 미 디지털 기업의 불만을 넘어 한미 간 디지털 무역협정을 체결하기 위해 서로 협상하는 가상 시나리오를 상정하면, 미국의 요구사항과 그에 따른 한국의 우려가 뚜렷이 드러남. 미국의 요구사항: 국경 간 데이터 이전 보장, 컴퓨팅 설비 현지화 요구 금지, 소스코드 공개 요구 금지, 플랫폼 사업자의 면책 조항 등을 포함한 디지털 규범을 한국에 강력히 요구할 가능성이 있음. 한국의 우려: 한미 간 AI 발전 수준과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가 달라, 양국 간 디지털 무역협정 체결에 따른 상호 이익(mutual benefit)의 담보 여부가 불확실한 상황임.
- 중장기 디지털 통상정책 방향, 디지털 무역협정 로드맵 구상과 구체화, 규제와 제도(데이터 규제, 지재권, 경쟁정책 등) 변화, 디지털 분야의 국내 보완대책 등으로 구분하여 정책 시사점을 제언함. 외부 압력에 밀려 통상 현안을 검토하거나, 단기 디지털 통상 현안을 둘러싼 세부 논의와 쟁점에 매몰되기보다는, 향후 10년을 내다보고 데이터 규제, 경쟁, 지재권, 디지털 기술 발전 등의 변화를 예상하면서 장기 안목과 통찰을 통해 정책을 결정할 시점임. 디지털 무역협정 로드맵을 진지하게 구상하고 로드맵을 채워나가는 디지털 무역협정 추진 전략을 고민할 시점임. 중장기 디지털 통상정책의 방향을 설정하고 구체화된 디지털 무역협정 로드맵하에서 국내 데이터 규제 수준, 지재권 보호 강도, 경쟁정책의 기조를 결정해 나가려는 노력이 바람직함. 데이터 국외 이전, 보안인증 정책, 경쟁정책, 지재권 정책 등을 포함한 국내 디지털 규제·법·제도·관행 등의 변화는 필연적으로 승자와 패자를 만든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국내 논의 과정에 ‘숲’을 보려는 노력 이외에도 규제 변화에 따라 피해를 입는 기업과 산업에 대한 구제방안도 함께 논의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