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책연구원은 「국내 AI 반도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우리의 대응 방안은?」을 발표하였다.
- 국내 AI반도체 기업의 시작과 양산의 도래
· 2025년에도 AI반도체 시장은 급속한 진화를 거듭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의 시장 진입 기회가 열리고 있음
· 인고의 세월을 헤쳐 온 국내 AI반도체 기업들에게 2025년이 수확의 계절이 될 수 있을까?
- 국내 AI반도체 기업의 소개 및 적용분야
· 데이터센터용 AI반도체를 개발하는 국내 대표기업으로는 퓨리오사AI, 리벨리온 등이 있음
· 온디바이스용 엣지향 AI반도체를 개발하는 국내 대표기업으로는 딥엑스, 모빌린트 등이 있음
- 국산 AI반도체 양산을 가로막는 생태계 차원의 주요 문제점
· (문제점1) 수요기반의 AI반도체 제품 설계 및 사업화 역량 부족
· (문제점2) AI반도체 양산을 위한 실증 역량의 한계 및 수요 연계 레퍼런스 부족
· (문제점3) 민간 투자의 전략성·전문성 부족 및 공공투자 부문의 한계
- 시사점
· 수요 연계 강화를 위한 AI 반도체 생태계 인프라 구축 필요
· R&D 지원 사업의 전략적 재편
· 글로벌 빅테크와 정부간 협력 채널 확대 방안 마련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