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들어가며 2. 청년 연령 기준 현황(1)「청년기본법」 상의 청년 연령 기준(2)「청년기본법」 외 다른 법령 및 정책별 청년 연령 기준(3)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별 청년 연령 기준(4) 국회 법안 발의 현황 3. 연령 기준의 상한 및 일원화 .."/> KDI 바카라사이트 업 추천교육·정보센터
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바카라사이트 업 추천KDI 바카라사이트 업 추천교육·정보센터

ENG
  • 바카라사이트 업 추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청년 연령 기준의 상향 및 일원화 쟁점과 개선 방향
국회입법조사처
2025.03.21
국회입법조사처는 보고서를 통해 「청년 연령 기준의 상향 및 일원화 쟁점과 개선 방향」을 발간하였다.

<차례>
1. 들어가며

2. 청년 연령 기준 현황
(1)「청년기본법」 상의 청년 연령 기준
(2)「청년기본법」 외 다른 법령 및 정책별 청년 연령 기준
(3)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별 청년 연령 기준
(4) 국회 법안 발의 현황

3. 연령 기준의 상한 및 일원화 관련 주요 쟁점
(1) 연령 기준의 상향 관련 주요 쟁점
(2) 연령 기준의 일원화 관련 주요 쟁점

4. 향후 개선 방향
(1) 다른 연령대와 연계한 청년 연령 기준 상한의 상향
(2) 국가 차원의 연령 상한에 대한 가이드라인 설정

- 최근 인구 고령화와 청년인구 감소에 따른 정책 대상과 연령 기준 간 부정합성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서 청년 연령 기준의 상향 및 일원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아지고 있다. 현재 급변하는 청년 상황을 감안할 때, 청년 연령 기준의 상향은 긍정적으로 검토하되 다른 연령을 연계할 필요가 있다. 또한, 향후 청년정책에 대한 유연성은 유지하면서도 국가 차원에서 최소한의 연령 상한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설정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