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발간한 『한국의 금융시장』에 따르면, 직접금융거래는 자금수요자가 자기명의로 발행한 증권을 자금공급자에게 교부하고 자금을 직접 조달하는 거래이고, 간접금융거래는 은행 등과 같은 금융중개기관(financial intermediaries)을 통하여 자금공급자에게서 자금수요자로 자금이 이전되는 거래입니다. 직접금융거래수단으로는 주식, 채권 등이 있고, 간접금융거래수단에는 예금, 대출 등이 있습니다(한국은행. 『한국의 금융시장』. 2012).
펀드는 투자자로부터 모은 자금을 금융 기관들이 주식 및 채권 등에 투자하여 운용한 후 수익을 투자자들에게 돌려주는 투자 상품을 말합니다(『고등학교 바카라사이트 이용』. 씨마스. 2014).
직접금융시장은 자금 공급자와 수요자가 직접 자금을 거래하는 금융시장을, 간접금융시장은 자금 공급자와 자금 수요자 사이에 금융 기관이 중개하여 자금 거래가 이루어지는 금융시장을 말합니다(『EBS 수능특강 사회탐구영역 바카라사이트 이용』. 2015). 펀드는 자금 공급자와 수요자 사이에 금융 기관의 중개로 자금이 이전되므로, 바카라사이트 이용 교과서에서는 펀드를 간접투자 상품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펀드는 간접금융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으로 생각됩니다. 한국은행의 자료에서도 펀드시장은 간접금융시장으로 분류됩니다.

자료: 한국은행. 『한국의 금융시장』. 2012
이전 답변에서 펀드가 간접금융시장과 직접금융시장 모두에 해당한다고 한 것은, 실제로 시장에는 다양한 펀드가 있어서 이들의 성격을 일률적으로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직접금융시장이라고 하더라도 상품은 중개기관이 거래서비스를 대행해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펀드도 중개기관이 거래만 돕고 수익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가 지는 경우도 있고, 일부 중개기관에서 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성격은 각각 직접금융시장과 간접금융시장의 특성으로 펀드는 상품에 따라 이들이 혼재해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은행의 자료와 교과서의 정의에 따른다면 펀드는 간접금융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으로 보입니다. KB은행의 『나도 금융인이 되고싶다』에서의 분류는 기관에 직접 문의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kcharmer@kd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