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에서 A, B 두 재화만이 이동하는 점을 감안하면, 이 문제에서는 두 재화만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가)에 따라 무역이 이루어졌다면 갑국은 B재에 절대 우위, 을국은 A재에 절대 우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을국은 생산비가 절대적으로 싼 A재를 생산하여 갑국에 팔고 있고, A재는 갑국에서 생산하는 것보다 싸게 생산할 수 있으므로 비교 우위를 갖게 됩니다.

<표 1는 갑과 을 두 나라에서 가방과 옷을 한 단위씩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노동투입량을 나타냅니다(단, 양국은 동일한 생산요소인 노동만을 가지고 있으며, 시간당 임금도 동일하다고 가정합니다. 따라서 투입노동시간은 곧 생산비와 같습니다). 갑국은 옷을 더 적은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으므로 옷에 대해 절대우위를 가지고 있고, 을국은 가방을 더 적은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으므로 가방에 대해 절대우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갑과 을국 간에 무역이 발생합니다.

<표 2는 각 나라의 재화생산에 대한 기회비용을 계산한 값입니다. 갑국이 가방 한 개를 더 생산하기 위해서는 옷 2.5(5/2)개를 포기해야 하고, 을국은 0.5(3/6)개를 포기해야 합니다. 한편, 을국이 옷 한 개를 더 생산하기 위해선 가방 0.4(2/5)개를 포기해야 하고, 을국은 2.0개(6/3)를 포기해야 합니다. 가방 생산에 대해 을국의 기회비용이 더 작고 옷 생산에 있어서는 갑국의 기회비용이 더 작으므로, 갑국은 옷 생산에, 을국은 가방 생산에 비교우위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 모형에서는 각 국이 절대우위가 있는 재화에 대해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 재화에 대해 절대우위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만으로 그 재화에 대해 비교 우위가 있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한 나라가 두 개의 재화 모두에 대해 절대우위를 가질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서로 교역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각 국가가 하나의 재화에 대해 절대우위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kcharmer@kdi.re.kr